애착이론의 실험적 의미와 애착의 종류
낯선 상황 실험이란 생후 12~18개월의 아기를 20분 동안 장난감이 가득 찬 방에 들여보낸 후 한 방향 거울을 통해 옆방에서 아기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다. 그동안 엄마와 아기는 격리되고 재회하는 일을 겪게 된다. 낯선 상황 실험에서는 여덟 건의 사건이 벌어지는데 처음 사건은 30초 동안 벌어지고 나머지는 최대 3분까지 진행된다. 두 번의 격리와 재회가 벌어지는 동안 아이의 반응은 한 방향 거울을 통해 주의 깊게 관찰된다. 주로 이런 행동을 근거로 아기는 안정 애착으로 분류되거나 불안정 애착의 세 부류 가운데 하나로 분류된다.
1.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
에인스워스의 시스템에서 B형 아기로 분류되는 안정 애착 아기는 엄마가 방에 있을때 장난감에 흥미를 보인다. 이 범주의 아기들 가운데 일부는 엄마와 떨어질 때 괴로워 한다. 가장 중요한 특징은 엄마와 다시 만나는 순간 아기가 그 즉시 엄마에게 안기려 한다는 점이다. 엄마와 떨어졌을 때 아기가 괴로워한다면 엄마와의 재회가 아기를달래는 데 효과적이다. 이런 식의 행동은 아기가 애착 욕구를 느낄 때 엄마가 함께하는 정도와 엄마의 반응에 아기가 안정감을 느낀다는 점을 나타낸다.
아기는 자신의 애착 욕구에 대한 엄마의 감정적인 호응이나 반응에 불안정하게 느낀다. 그때 아기는 자신의 애착 행동을 엄마의 행동에 맞게 수정하는데 이를 불안정 애착이라고 한다. 불안정 애착에는 몇 가지 범주가 있는데 에인스워스가 원래 주장한 것은 회피 애착과 저항 애착이었지만 이후 혼란 애착이라는 또 다른 범주가 추가되었다.
2. 불안정 애착으로 인해 나타나는 행동
에인스워스가 A형 아기로 분류한 회피적인 아이들은 지나치게 독립적인 행동을 보인다. 이런 아기들은 엄마보다 장난감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며 엄마와 떨어져 있는동안에도 별다른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특징은 엄마와 재회했을 때 엄마로부터 도망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회피적으로 분류된다.
저항적인 아기들(C형 아기)은 지나치게 의존적인 행동을 보인다. 이런 아기들은 엄마와 함께 있을 때에도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않으며 엄마와 격리되면 심한 거부반응을보인다. 엄마와 다시 만날 때는 울고 안기는 등 엄마와 가까이 있으려는 행동을 보이면서도 자신을 달래려는 엄마를 거부하는 행동도 보인다. 엄마를 밀거나, 엄마가 안으면 뒤로 몸을 젖히거나 화를 내며 걷어차기도 한다.
회피형과 저항형 행동은 정상적인 애착의 변형으로 여기는 반면, 혼란 애착은 학대나 다른 식의 비정상적인 육아 방식에 희생된 아기들이 주로 보이는 행동이다. 이런아기들은 애착에 관해 일관된 행동을 보이지 않거나 심지어 부모에게 두려움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불안정 애착 아이들은 안정 애착 아이들에 비해 부모에게 애착을 덜 느낄까? 그렇지 않다. 생명 활동은 아이들이 자신을 돌보는 사람에게 강한 애착을 느끼게 만들어준다. 이 점에 관해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아이들이 애착의 안정성에 다양한모습을 보인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자신이 애착을 갖는 사람과의 관계를 얼마나 안정적으로 느끼는지, 자신의 욕구에 돌보는 사람이 반응을 보이는 데 얼마나 안정적으로여기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돌보는 사람과의 애착정도에 따라 애착의 안정성이 달라진다는 뜻은 아니다.
3.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을 만드는 육아 방법
에인스워스의 표본에서 안정 애착 아이의 엄마는 아이의 신호에 세심하고 즉각적인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생후 3개월 동안 젖을 먹이거나 놀거나 신체적으로 접촉하거나 감정적으로 괴로움을 보일 때 엄마가 아기에게 좀 더 세심하게 반응하면 아기가 생후 12개월이 되었을 때 보다 안정 애착일 가능성이 많다.
에인스워스의 가정 연구에서 회피적인 아이의 엄마는 아이의 신호에 무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 애착 행동은 무반응적인 엄마로 인한 애착의 하향 조절을나타낸다. 저항적인 아기의 엄마는 아기가 애착 신호를 보일 때 일관되지 않은 반응을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항 애착은 애착 시스템을 조금씩 늘림으로써 엄마의 관심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혼란 애착은 학대받은 적이 있거나 엄마가 상당히 감정적인 이상을 보이는 경우에 나타난다. 이런 아기들은 부모의 변덕스러운 행동에 대처하는 일관된 전략을 찾을 수 없고 심지어 두려워하는 행동을 보이기까지 한다. 때문에 아이들의 애착 행동 역시 혼란된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