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착 이론의 정의와 창시자

블루올카 2022. 8. 9.

애착 이론은 정신분석 이론의 핵심 개념, 특히 어린 시절 아이와 돌보는 사람의 관계가 이후 성격 발달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실증적인 근거를 제공한 첫 운동 가운데 하나였다. 칼 로저스와 마찬가지로 애착 이론가들은 감정과 대인관계 연구에 과학적인 방법이 유용하게 적용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따라서 애착 이론은 정신분석 이론에 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한 첫 번째 운동이라 할 수 있다. 당연히 처음에는 애착 이론이 거부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의 정신분석 학파로부터 인정받게 되었다.


애착이란 아이가 자신을 돌봐주는 사람, 주로 엄마와의 감정적인 교감을 유지하고 싶어 하는 생리적인 욕구를 뜻한다. 애착 이론은 '애착과 상실'이라는 3부작으로 이루어진 책을 저술한 존 볼비가 창시한 이론이다. 볼비의 이론은 애착 연구를 위한 실험적인 과정을 개발한 메리 에인스워스에 의해 상당한 체계를 잡게 되었다.

 

1. 볼비의 애착 이론

존 볼비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에서 자주 목격할 수 있었던, 어린아이와 엄마 사이의 격리가 주는 대단히 파괴적인 영향을 우려한 영국 정신분석학자다. 그 당시 정신분석학적 세계관은 현실적인 사건들을 묵살했기 때문에, 엄마의 존재가 현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볼비의 주장은 동료들과의 사이를 벌어지게 했다. 또한 인성학과 동물 행동 연구에도 관심이 있었던 볼비는 결국 정신분석 이론과 인성학을 종합해 영유아와 엄마의 애착 이론을 창시했다.

 

일반적으로 애착이란 어린아이가 엄마로부터 보호받고자 하는, 진화론적으로 발달된 생리적 욕구라 할 수 있다. 아이가 놀라거나 엄마와 떨어지면 애착 시스템이 가동되어 엄마와 가까이 있으려고 한다. 아이는 엄마를 향해 손을 뻗으며 안아달라고 울거나 엄마가 있는 쪽을 향해 기어간다. 볼비는 이런 현상을 아이가 일종의 아늑한 만족감과 같은 안전과 행복이라는 주관적인 경험을 하려는 것으로 여겼다. 아이가 안전하다고 느끼면 애착 시스템은 멈추고 탐구 시스템이 가동된다. 그러면 아이는 엄마 품을 떠나 세상을 탐구하며 놀기 시작한다. 엄마와의 관계가 격리나 이별로 방해를 받으면 아이는 엄청난 슬픔과 고통을 경험하는데, 상실감이 얼마나 심각한가에 따라 오래 지속될 수도 있고 심할 경우 평생 영향을 줄 수도 있다.

 

2. 볼비가 창시한 내적 작동 모델

볼비의 영유아 애착 시스템은 대부분 행동적인 측면에 입각해 설명되지만, 그는 애착에 관한 아이의 내적 작동 모델이라는 개념을 통해 애착의 심리적인 측면을 다루기도 했다.

내적 작동 모델이란 일종의 돌보는 사람과 아이 자신의 심상 지도 또는 심리적 각본이라 할 수 있다. 반복된 애착 경험을 통해 아이는 엄마나 돌보는 사람의 반응과 함께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갖는다. 아이는 엄마와 아이 자신의 상호관계가 어떻게 펼쳐지는지에 관한 작동 모델을 개발하게 되고, 이런 기대치에 따라 애착 행동을 수정한다. 이 아기가 울면서 안아달라고 하는 모습이 볼비가 말한 애착을 추구하는 행동에 해당한다. 아이가 엄마와 떨어지면 애착 시스템이 가동되고 아이는 엄마와 다시 만나기 위해 애착을 추구하는 행동을 보인다. 

 

3. 애착을 측정하는 과학적인 방법

존 볼비가 자신이 창시한 개념을 실증적인 연구로 만드는 데 관심을 가지긴 했으나 애착 이론을 연구실에 옮겨놓은 사람은 메리 에인스워스다. 볼비가 엄마와 아이의 격리로 인한 보편적인 영향에 처음 관심을 보였다면, 에인스워스는 엄마와 아이의 관계의 본질을 기반으로 한 애착의 질적 차이에 관심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그녀의 첫 연구는 1954년 남편과 함께 여행했던 우간다에서 실시되었다. 28명의 우간다 아기들을 관찰한 그녀는 엄마와 아이의 애착에 대한 질적인 차이를 발견했다.

 

그녀와 남편은 우간다를 떠나 볼티모어의 존스홉킨스 대학교로 이주한 후 좀 더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했다. 그곳에서 그녀는 가정은 물론 낯선 상황이라고 부르는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실험실에서 벌어지는 엄마와 아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엄마와 격리될 때와 재회할 때 보이는 아이의 반응을 근거로 아이는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으로 분류된다. 에인스워스는 또한 실험실에서의 애착 상태가 가정에서 아이에게 보이는 엄마의 행동과 관계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78년에 이런 연구 결과를 담아 출간한 '애착 패턴'은 애착 연구에 한 획을 그었다. 또한 비교적 단순한 이 연구의 틀은 아동 발달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에 대단한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