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이드와 마음의 해부학

블루올카 2022. 6. 26.

 

1.  마음의 해부학의 개발

우리가 어떻게 무의식적 소망을 다루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Freud(1933)는 또한 1920년대 초에 그를 사로잡았던 마음의 해부학을 개발하였다. 이것은 성격이 세 가지 "기관” 또는 정신적인 “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성격의 구조적 관점을 이끌었다. 원초아, 자아 및 초자아로 대변되는 이런 기관들은 초기의 경험 과정에서 형성되는데, 마지막 단계인 초자이는 대략 6세쯤 이후에 결정된다.

이 세 집행자들은 의식의 세 가지의 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무의식 층인 원초아는 개인의 자각 밖의 정신 과정이 특징이다. 자아는 현저하게 의식적이다. 그리고 초자아는 의식과 무의식 과정의 혼합을 포함하고 있다. 세 개의 부분이 친밀하게 상호작용할지라도, 각각은 그 나름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성격의 핵심인 원초아

원초아(id)는 유전된 모든 것, 특히 본능을 내포하고 있는 정신적 집행자이다. 원초아는 성격의 기초이고, 전체 체계의 에너지 원천이며, 후에 자아와 초자아를 발달시키는 정근원이다. Freud에 의하면, 원초아는 성격의 가장 깊숙한 핵심이며, 생물학적인 과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Freud의 견해에 따르면, 원초아의 본능은 신체의 흥분상태 내에 생물학적으로 그 원천이 있다. 그것들은 추동과 같이 작용하는데, 방출(발산)의 압력을 받고 있다.

 

그 목표는 감소를 추구하기 위한 것, 즉 흥분상태를 더 낮추는 것이라는 점에서 동기화된다. 따라서 표현되지 못한 추동의 증강이 만들어내는 긴장은 방출되어야 하는데, 이는 과열된 보일러 내 증강된 증기가 방출되거나 아니면 시스템이 폭발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본능적 추동은 생물학적이고 선천적이지만, 그 대상은 개인의 특정한 초기 경험에 달려 있는 추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에 포함되어 있다.

 

내적 혹은 외적 자극으로 에너지가 증가하면, 원초아가 참아낼 수 없는 긴장과 불편이 일어난다. 원초아는 결과에 관계없이 즉각적인 긴장 감소를 추구한다. 즉각적으로 긴장을 감소시키려는 이 경향을 Freud는 쾌락 원리(pleasure principle)라고 불렀다. 원초아는 이성이나 논리, 결과와는 관계없이, 본능적인 소망과 충동의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쾌락 원리의 지배를 받는다.

또한 원초아는 긴장을 방출하기 위해서 바라는 대상에 대한 내적인 심상이나 환상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배고픈 유아는 어머니의 젖가슴에 대한 내적 표상을 떠올릴 수 있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심상은 소망 충족으로 간주되는데, 이것은 Freud가 정상적인 꿈과 정신장애자들의 환각의 특징이라고 믿었던 시도된 소망 충족과 유사하다. 일차 과정 사고(Primary process thinking)는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직접적이고, 비합리적이며, 현실을 무시하는 시도와 같은 것에 대한 Freud의 용어이다. 정신적 심상은 그 자체로 긴장을 감소시킬 수 없기 때문에, 자아가 발달한다.

 

3. 현실의 검증자인 자아

자아(ego)는 원초아의 직접적인 파생물이다. 자아는 외부 세계와 직접적인 접촉을 한다. 그것은 안전에 대한 고려가 지배적이고, 그것의 임무는 유기체의 보존이다. 자이는 외부세계와 원초아의 내면적인 본능적 욕구 모두에 대항하여 생존을 위해 싸운다. 이 임무에서 자이는 소망을 충족시키는 심상의 정신적 표상과 현실의 실제 외부세계 사이를 계속해서 세분화시켜야만 한다. 예를 들면, 음식이나 성적인 욕구의 해소를 찾을 때, 긴장 감소가 실제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환경 속에서 적절하게 긴장을 감소시키는 대상을 구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그것은 심상으로부터 대상까지 이르러야 하고, 동시에 그 자체를 보호하면서, 원초아의 충동이 만족되어야 한다.

자아의 기능은 현실 원리(reality principle)의 지배를 받는데, 그것은 자아가 적절한 대상과 환경 조건이 발견될 때까지 현실을 검증하고 긴장 방출을 지연시키도록 요구한다. 자아는 보다 고차적이거나 인지적인 정신과정의 사용을 통한 현실적, 논리적 사고와 계획을 수반하는 "이차 과정에 의해 작용한다. 즉, 원초아가 성과 공격 본능에 대해 소망 충족적인 심상과 직접적인 만족과 같은 일차 과정으로 즉각적인 긴장 감소를 추구하는 반면, 집행부와 같은 자아는 원초아와 세계 사이를 매개하고, 현실을 검증하고 이용 가능한 행동에 대한 다양한 과정들에 대해 결정한다. 예를 들면, 환경 조건들이 적절할 때까지 즉각적인 성적 만족을 위해 충동을 지연시킨다.

 

4. 완벽을 추구하는 초자아

Freud의 세 번째 정신 구조는 초자아(superego)이다. 초자아는 부모의 영향을 내면화하는 기관이다. 초자아가 성격발달 과정 중에 개인 내면세계의 일부가 되는 것은 도덕성과 사회의 기준을 나타낸다. 초자아는 부모의 내면화된 기준, 따라서 우회적으로는 사회의 내면화된 기준에 따르는 옳고 그름, 그리고 선과 악을 판단하는 양심이다. 초자이는 이상을 나타낸다. 원초아는 쾌락을 추구하고, 자아는 현실을 검증하는 반면에, 초자아는 완벽을 추구한다.

 

Freud에 의하면, 초자아는 부모 통제를 자기 통제의 형태로 내면화시킨다. 예를 들면, 초자아가 잘 발달한 사람은 그를 제지하는 어떤 외적인 제약(경찰 또는 다른 사람의 형태로)이 없을 때조차도, 배고플 때 도둑질을 하거나 화가 날 때 살인을 하는 것과 같은 "악"하거나 "사악한 유혹에 저항한다.

이 이론에서 초자아는, 무기력하고 보호를 해주는 사람에게 극단적으로 의존적인 유아기의 긴 기간을 벗어난, 약 5세쯤에 발달한다. 어린 아동은 초기의 사랑을 잃어버릴 가능성을 몹시 두려워한다. 부모의 보호와 만족감의 철회로 인한 위협은 끔찍한 것이다. 처음에 이 두려움은 아동 자신의 행위("나쁜 짓들로 사랑과 만족을 상실하는 것에 대한 객관적인 불안에 근원을 둔다. 그 시기에 아동은 부모의 상을 결합하고, 그것을 심리적으로 일치시킴으로써 능동적인 동일시(identification)가 일어난다. 부모의 소망들이 결합됨에 따라, 이 과정을 통해 양심은 외적인 통제보다는 오히려 내적인 목소리가 된다.

일단 충분히 발달되면, 초자아는 강제성을 가질 수 있는데, 심지어 마치 원초아의 요구와 같이 그것 스스로가 비합리적인 힘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힘의 예는 극도의 자기 증오와 자기 파괴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심각한 우울증에서 보인다. 초자아의 횡포는 이처럼 원초아의 요구에 덧붙여진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