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 로저스의 자기 이론

블루올카 2022. 6. 26.

 

1. 칼 로저스의 성격 이론

칼 로저스 Carl Rogers와 조지 켈리 George Kelly는 두 사람 모두 20세기 중반에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교수로 같은 때에 잠깐 재직하였는데, 그들의 관점이 많은 유사성을 공유하고 있음에도, 그들은 매우 상이한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Kelly가 개인적 구성 개념과 세상을 바라보는 보다 건설적인 방식을 찾기 위한 대안적 방식들을 강조하였다면, Rogers는 자기 이론과 최적의 성장과 충족을 허용하는 조건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갔다.

 

Kelly와 꼭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Rogers의 성격이론은 개인의 독특하고 주관적인 경험을 강조한다. 그는 당신의 인생에서 당신이 사상들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방식이 당신이 그것들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결정한다고 믿는다. 각 개인은 주관적 세계에서 생활하는데, 소위 과학자들의 객관적 세계조차도 주관적 지각, 목적 및 선택 등의 산물이다.

 

어느 누구도 아무리 노력해도 다른 사람들의 "내적 참조 체계"를 완전히 가정할 수 없기 때문에 개인 자신이 자신의 실체가 무엇인지에 대한 가장 큰 자각 잠재력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개인은 자신에 대한 세계 최고의 전문가이며 자신에 대한 최상의 정보를 지니고 있다. Rogers의 견해에 의하면, 행동은 지각되는 장에서 경험하는 유기체의 욕구를 만족시키려는 전형적인 목표지향적인 시도이다. 이것은 사람의 행위의 결정요인으로 개인의 지각에 대한 강조이다. 개인이 사상들을 어떻게 보고 해석하는지는 개인이 그 사상들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지를 결정한다.

 

2.  칼 로저스의 자기실현

대부분의 현상학자들과 마찬가지로, Rogers는 구체적인 동기 개념을 버리고 조직화된 전체로서 기능하는 유기체를 보려고 한다. 그는 "인간 유기체에는 하나의 중심적인 에너지 원천이 있다. 유기체의 일부로서 보다는 전체 유기체로서 기능하고 그것은 아마도 유기체를 충족시키며, 실현시키고, 유지하고 향상하려는 경향성으로서 가장 잘 개념화된다"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유기체의 본래 경향은 그 자체를 실현시키려는 것이다. 동기는 그래서 특별한 구성 개념이 아니라 단순히 살아있는 것의 총괄적 특징이 된다.


인간 본성에 대한 그의 근본적인 긍정적 견해와 일치하여, Rogers의 이론은 정서들이 적응에 유익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정서는 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수반하고, 일반적으로 그것을 촉진시키며 정서의 강도는 유기체의 유지와 향상을 위하여 지각된 행동의 중요성과 관련이 있다. 유기체는 그 자체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가치 있는 과정에 참여하며, 유기체를 향상하는 것으로 지각된 경험들은 긍정적 가치를 지니게 된다. 유기체의 향상이나 유지를 부정하는 것으로 지각되는 경험들은 부정적 가치를 지니게 된다. 유기체는 경험하는 유기체를 실현하고, 유지하며, 향상하려는 하나의 기본적인 경향성과 노력을 지니고 있다. 자기실현의 관점과 함의는 아래에서 보다 충분히 논의된다.

 

3.  칼 로저스 이론의 중심인 자기 이론

자기는 대부분의 현상학적 이론의 중심 개념이며, 또한 Rogers에게도 근간이 된다. 적의 연구진 정신 역동적 수준에서 연구하는 많은 신 Freud 학파도 마찬가지다. 사실, 그의 이론은 흔히 성격 이론에서 자기 이론으로 간주되고 있다. 자기 혹은 자기 개념은 조직되고, 일관된 전체이다. 그것은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 그리고 인생의 다양한 측면들과 자신의 관계에 대한 지각으로 구성되고, 모두 자신에게 부여된 가치를 가진다.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지각적인 장의 일부는 점차 자기로 세분화된다. 이러한 지각된 자기는 지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자기의 경험은 가치를 부여받게 되는데 이러한 가치들은 환경과의 직접적인 경험의 결과이거나, 혹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린 아동은 내장이나 방광의 생리적 긴장을 경험할 때마다 용변을 보는 것이 유기체적으로 즐거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지만 때때로 그런 행동은 나쁜 행동이며, 그러한 행동을 할 경우 사랑받을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부모의 말과 행동을 경험할 수도 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경험을 왜곡하고 부인할 수도 있는 갈등이 발달된다. 즉, 부모의 태도는 그것들이 마치 아동 자신의 경험의 증거에 기초되어 있는 것처럼 경험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종종 배설의 만족이 유기체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흔히 경험된다는 것이 보다 정확한 상징화임에도, 그것이 나쁜 것으로 경험되기 시작할 수도 있다. Rogers는 배변 훈련에서 경험의 부인 혹은 왜곡도 만약 그 부모가 자녀의 느낌을 순수하게 수용할 수 있고, 동시에 자신의 느낌들을 수용할 수 있다면 피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댓글